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파일은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로 알려진 반전된 단일 디렉터리 트리로 구성된 파일 시스템에 저장됩니다. 이 트리는 루트가 나무의 뿌리 모양으로 보이는 계층 구조의 최상단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디렉터리와 하위 디렉터리의 분기는 루트의 아래쪽으로 뿌리가 뻗어 나가는 모양이기 때문에 뒤집어진 나무 모양이에요. 계층 구조 한눈에 보기 최상단의 / (루트) 디렉토리는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의 최상단에 존재하는 루트 디렉터리입니다. / 문자는 파일 이름에서 디렉터리 구분자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usr 디렉터리가 / 디렉터리의 하위 디렉터리이면 그 디렉터리를 /usr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usr 디렉터리가 bin 디렉터리를 포함한 경우에는 그 디렉터리를 ..
Linux의 특징 실시간 페이지 적재 기능 (Demand Loading Excutables)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메모리를 페이지(메모리) 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페이지 단위로 메모리를 할당하고, 스왑(Swap) 하며, 운영체제를 사용할 때 필요한 만큼만 메모리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가상 메모리에 의해 프로그램이 페이지 단위로 분리되어 있을 때 실행되는 순간에만 메모리로 적재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페이지는 보조 기억 장치에 위치하게 되는 것에요. 🎯 메모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PU 최적화 어떤 프로세서(Intel , amd , Cyrix 등)를 사용하더라도 최고의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뛰어난 네트워킹 완..
[티스토리] 코드 블록 mac 스타일 적용 (feat. hELLO) 코드블록 mac 디자인 평소처럼 일을 하면서 구글링을 해서 여러 기술 블로그들을 확인하게 되는데, 거의 대부분의 블로거 분들이 티스토리 기본 코드 블록을 사용하기보다는 디자인을 커스터마 reifier.tistory.com 이전 발행글인 [티스토리]에 mac 스타일의 코드블록 css를 적용하면서 블로그 테마/스킨을 꾸미는 것에 재미가 들렸어요. 퀄리티가 좋은 개발 내용 위주의 포스팅을 하고 싶었는데, 티스토리 스킨을 커스터마이징 하는 것도 너무 재미가 있어서 포스팅하는데 지장이 가네요. 🤣 여러분들은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링크를 적은 후에 Enter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오픈그래프가 생성되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오픈그래프에 대한 개념이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