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궁금한 게 있으면,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해결책을 찾으려 합니다.
농담으로 "내 사수/선배는 구글이야" 라는 말을 하기도 하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에서 부터 노출된 블로그나 사이트를 순서대로 클릭하게 됩니다.
이때 검색 엔진을 통해 결과를 상위에 노출하도록 하는 작업을 SEO 라고 부릅니다.
검색 엔진 최적화 (SEO)
SEO 란?
검색 엔진 최적화는 웹 사이트를 최적화하여 검색 결과로 더 자주 노출되도록 하는 과정이에요.
검색 엔진으로부터 웹사이트나 웹페이지에 대한 트래픽의 품질과 양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 SEO 로 부르며, 또 다른 이름으로는 검색 랭크 개선이라고도 합니다.
검색 결과의 종류
노출되는 검색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자연 검색
검색 키워드에 따른 자연적인 검색 (Organic Search)
은 검색 엔진이 자료를 수집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에 알맞게 검색 결과를 상위에 나올 수 있게 합니다. 만약 내 블로그와 관련된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상위에 나오게 된다면 유입 방문자 트레픽이 늘어나기 때문에 효율이 좋은 마케팅 방법론이면서 비용이 처리되지 않는 마케팅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광고 검색
광고로 노출되는 검색에서는 또 두 가지로 구분지을 수 있어요.
첫 번째로 CPC (Cost Per Click)
는 온라인 광고의 성과 측정을 위한 데이터 포인트이면서 인터넷 광고에서 클릭 당 지불 비용을 의미하며 광고를 통해 사용자를 광고주의 페이지에 유도한 횟수만큼 과금이 되는 것과
두 번째로 PPC (Pay Per Click)
는 구글 애드워즈를 이용해서 특정 타겟에게 검색 엔진을 통한 키워드를 노출하면서 페이스 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을 이용하여 특정 타겟을 잡을 수 있습니다.
GA (Google Analytics) 로 볼때 PPC 광고는 마케팅에 중요한 부분이면서, 광고를 통하여 효율적인 가성비 CPC를 목표로 전략을 세우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작동 방식
검색 엔진은 내 블로그를 크롤링하면서 내 블로그 포스팅에서 링크를 찾아 따라 갈꺼에요.
링크에서 찾은 콘텐츠의 색인을 생성합니다.
우리가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키워드로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것은 바로 그 컨텐츠 색인입니다.
검색 엔진은 일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만, 제가 느끼기로는 영업 비밀의 느낌이 강합니다.
기본적인 작업은 특정 키워드를 블로그에 적절하게 배치하고, 다른 페이지에서 링크가 많이 연결되도록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검색 엔진은 콘텐츠의 신뢰도를 파악하는 기초적인 지표로 다른 페이지에서 얼마나 인용이 되었나를 사용하기 때문이에요.
그렇게 때문에 타 사이트에서 호출되는 횟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 SEO 를 최적화 한다고도 할수 있겠습니다.
최적화 분류
검색 엔진 최적화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내 블로그 내에서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 하는 여러 작업들이 있는데, 시멘틱 HTML을 사용하며, 제목인 H태그, 오픈 그래프와 메타 태그, 글자 수, 양질의 콘텐츠 내용 등을 작업하는 방법으로 온 페이지 SEO (On-Page SEO)
방법이 있고,
웹 사이트 외부에서 관련성, 신뢰성, 권한, 백 링크 등의 작업으로 검색 엔진 최적화를 하는 방법인 오프 페이지 SEO (Off-Page SEO)
방법으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색인 생성
구글, 네이버, 빙, 다음 등과 같은 검색 엔진은 크롤러를 사용하여 검색 결과를 찾는데요. 모든 페이지를 찾을 수 있도록 sitemap.xml 와 RSS 피드를 만들고 제출할 수 있는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다만 크롤러는 다양한 요인을 살피기 때문에 완벽하게 모든 페이지가 인덱싱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주의해 주세요.
색인 생성을 위한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아래에 공유할게요.
1. 구글
구글 서치콘솔에 색인 생성을 요청하는 방법입니다.
[구글서치콘솔] 내 블로그가 구글에서 검색이 안돼요.
새로운 티스토리 블로그로 이전하면서 구글에서 검색이 안 되고 있는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원인도 모르겠고 어쩌나 고민이 되더라구요. 열심히 블로그 기사를 투고했지만 전혀 검색이
reifier.tistory.com
2. 네이버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를 이용하여 색인 생성을 요청하는 방법입니다.
[서치어드바이저] 내 블로그가 네이버에서 검색이 안돼요.
이전 포스팅에서도 다루었던 새로운 티스토리 블로그로 이전하면서 네이버에서 검색이 안 되고 있는 현상이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었어요. 이번에는 네이버에서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가 검색
reifier.tistory.com
3. 빙
빙 웹마스터 도구로 색인 생성을 요청하는 방법입니다.
[빙 웹 마스터 도구] 내 블로그가 빙에서 검색이 안돼요.
의도치 않게 내 블로그가 검색이 안 돼요. 시리즈를 포스팅하게 되었네요. 🙂 구글 유입수와 비교하자면 소수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열심히 대책을 세울 일도 적지만, Bing에서
reifier.tistory.com
4. 다음
다음 검색 등록으로 검색을 신청하는 방법입니다.
[다음 검색 등록] 내 블로그가 다음에서 검색이 안돼요.
포스팅은 사실상 ZERO 인 주제에 방문자 유입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는 중입니다.🙂 이번 내용은 다음 검색 엔진에 저희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는 것입니다. 다음 검색 등록 티스토리 블로
reifier.tistory.com
5. ZUM
2024년 기준으로 줌은 Naver 블로그만 등록이 가능하며 그 외 블로그는 자동으로 크롤링 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정리
끝내며
사실상 제대로된 첫 포스팅을 진행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내 블로그가 검색이 안돼요." 라는 시리즈를 Web 지식인 SEO 를 위한 빌드업이었다고도 할 수 있겠네요. 🙂
SEO 는 마케팅 용어로 많이 사용이 되지만, 블로그나 자신만의 사이트를 운영하는 사람에게는 키워드 검색으로 많은 방문자들이 유입될 수 있도록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나 구글 애널리스틱 등 자신의 사이트를 위해서 검색 엔진 최적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 수 있어요.
참고
Google 검색 센터(이전의 웹마스터) | 웹 검색엔진 최적화 리소스 | Google for Developers
Google 검색 센터는 Google 검색에 웹사이트를 표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검색엔진 최적화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지금 웹사이트의 검색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developers.google.com
고객센터 - zum
등록 안내 : NAVER 블로그만 가능합니다. 그외 블로그는 줌봇이 자동으로 크롤 합니다. zum 블로그 등록 요청은 naver블로그만 가능합니다. 그외 블로그는 활동성이 높아지면 줌봇이 자동으로 크롤
help.zum.com
Search engine optimization - Wikipedia
"SEO" redirects here. For other uses, see Seo. Practice of increasing online visibility in search engine results pages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is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website traffic to a website or a web page from
en.wikipedia.org
SEO - MDN Web Docs Glossary: Definitions of Web-related terms | MDN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is the process of making a website more visible in search results, also termed improving search rankings.
developer.mozilla.org